목과 어깨가 결리고 욱씬 거린다면

 우리 삶의 일부가 되어버린 스마트폰, 모바일 사용이 늘어나면서 눈의 피로, 어깨 결림, 등, 손목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 보급 전에는 주로 내근직 근로자들이 통증을 호소하였지만 지금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통증을 느낀다.

흔히 담이라고 부르는 근육이 뭉치고 뻐근한 느낌이 들거나 신경이 눌려 저리는 증상을 호소하며 영상장치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증상을 통틀어 VDT 증후군이라 부른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안구 건조증, 두통, 구토, 소화불량, 불안감 증상이 나타난다.

최근에 코로나 사태로 인해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사용이 급증하면서 VDT 증후군을 호소하는 이들이 부쩍 늘어났다.

스마트폰이나 PC 사용이 길어지면 고개가 앞쪽으로 쏠리면서 일자목이 되는데 이때 어깨와 목 주변 근육에 부담이 가중되고,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이 뭉치는 근막통증 증후군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뿐 아니라 장시간 화면을 주시하는 경우 눈의 깜빡임이 줄어들어 눈에 건조증이 심해져 눈의 피로가 누적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은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사용한 탓인데,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을 통해 자주 몸을 풀어주는 게 중요하다.

1~2시간 정도 일을 하고 난 뒤에는 10분정도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고 여의치 않으면 기지개를 켜거나 등 뒤에서 양손에 깍지를 끼고 본인이 할 수 있는 정도까지 올려 가슴과 어깨를 펴주는 것이 좋다. 아니면 손목을 안팎으로 돌려주고 손으로 머리를 잡아 양옆과 45도 방향을 숙여 목을 스트레칭 해주는 것도 괜찮다.

그리고 눈과 모니터의 거리가 최소 30cm 이상 유지해 주도록 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