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의 건강은 치매에 영향을 미친다.

이번에 일본 도호쿠(東北) 대학의 기우치 사쿠라(木內 櫻) 연구팀은 구강 기능의 악화가 주관적인 인지 기능을 저하시키는지 아닌지에 대해 6년 동안의 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검토했다. 그 결과 연하(=삼켜서 넘김) 기능의 저하, 저작(씹는) 기능의 저하, 구강 건조감, 치아 상실 등 구강 상태의 악화가 인지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구강 건강 상태의 유지가 인지 기능 보호로 이어지며, 그 결과 치매 증상이 나타나는 것 자체의 위험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이 내용은 Journal of Epidemiology. 2021년 4월 16일에 게재되었다.
출처: 뉴턴 2021.07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