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 백신, 암·에이즈 해결하는 '게임체인저' 도전

유전물질을 몸속에 직접 주입해 면역 반응을 끌어내는 mRNA 백신.

1990년대부터 본격 연구됐지만,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해 상용화는 매번 좌초됐습니다.

마침내 2020년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가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에 성공했고,
짧은 개발 기간과 높은 효능 덕분에 전 세계로 보급됐습니다.

이제 mRNA 백신은 코로나19를 넘어 암과 에이즈 등에 대한 백신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 듀크대는 mRNA를 이용해 유방암 백신을 개발했고, 여성 39명을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미국 연구팀이 mRNA 백신으로 에이즈 바이러스 감염 위험을 80% 낮췄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내놓은 데 이어,
모더나는 국제에이즈백신이니셔티브와 손잡고 mRNA를 활용한 에이즈 백신 개발에 돌입했습니다

국내 mRNA 백신 개발 기업들도 그동안 코로나19 백신 연구를 통해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난치성 질환 백신 개발에 나섰습니다.

에스티팜은 mRNA 기반 암 백신 개발에 돌입해 이르면 내년 비임상 시험에 들어갈 예정이고, 아이진은 췌장암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내놨습니다.

일각에서는 mRNA 백신이 전통적인 방식의 백신보다 이상 반응률이 높기 때문에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가 남아있다고 말합니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연구에 물꼬가 터진 mRNA 백신!

‘높은 이상 반응’이라는 우려를 극복하고 짧은 개발 기간과 여러 질병에 대한 호환성으로, 난치성 질환까지 해결하는 게임체인저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출처: YTN news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