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et-structure] aH 76년 2022년 3월 ~ 4월 라엘-사이언스 선정 요약
1-생명과학
1.1 – 음파를 이용하여 줄기세포를 골 세포로 분화시키다
과학자들은 10메가 헤르츠(MHz)의 음파를 이용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를 골 세포를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 이 간단한 기기는 또한 세포를 대량으로 쉽게 증식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조직공학에 필수적이다.
Sound waves convert stem cells into bone in regenerative breakthrough (newatlas.com)
1.2 – 심각한 면역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의 장기적인 효과
아데노신 탈아미나아제 결핍증(ADA)이라는 심각한 면역결핍 질환을 가진 어린아이가 10년 이상을 건강하게 살아오고 있다. 이것은 장기적으로 효과적이고 부적용이 없는 유전자 치료 덕분이며, 다른 치명적인 면역질환 치료에도 희망을 전해준다.
1.3 – 기존 박테리아와는 다른 2 cm 길이의 박테리아
거대한 박테리아가 카리브 해 습지에서 발견되었다. 독특한 생물학적 특징으로 몸길이가 최대 2cm에 달한다. 게다가, 이 박테리아의 유전적 물질은 구획화되어 있고 세포막에 매우 가까이 있어서, 박테리아 세포의 기존 개념과는 다르다.
A centimeter-long bacterium with DNA compartmentalized in membrane-bound organelles | bioRxiv
1.4 – 우리가 죽을 때 두뇌는 평생의 기억을 재생한다
한 남자의 심장이 멈추기 전과 후 약 30초 동안에, 그의 두뇌는 기억의 회상, 명상, 그리고 꿈과 관련된 영역에서 활동이 활발히 증가하였다. 과학자들은 이 남성의 두뇌가 임사체험에서 보고했던 사람들과 유사한 경험처럼, 평생 동안의 기억을 재생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1.5 – 육류를 섭취하면 기대수명이 증가한다
탄수화물 작물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보다 육류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면, 칼로리 섭취, 경제적 풍요, 도시 생활의 이점 그리고 비만과 관련없이 기대수명이 증가한다고 한다.
Meat-eating extends human life expectancy worldwide | Newsroom | University of Adelaide
2. 물리과학
1.6 – 은하계보다 더 큰 크기의 알려지지 않은 우주적 구조물
우주에서 ORC(오드 라디오 써클, Od Radio Circle)로 알려진 이상한 구조물은 지름이 백만 광년 이상이며, 모양이 비누 거품이나 ‘파베르제의 달걀’처럼 생겼다. 천문학자들은 이 거대한 크기의 이상한 것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다고 한다.
https://www.physics-astronomy.com/2022/04/astronomers-discover-space-structure-of.html
2.2 –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1,000 광년 너비의 우주적 거품
차가운 중성 가스와 먼지의 막으로 둘러싸인 저밀도, 고온의 플라즈마 공동은 ‘로컬 버블(Local bubble)’이라고 불리며, 너비가 1,000광년에 달한다. 태양 근처에서 거의 모든 별을 형성하는 복합체들은 이 ‘로컬 버블’ 표면에 존재한다. 이 거대한 거품 모양들에서 초신성의 폭발로부터 나온 충격파가 별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s://astronomy.com/news/2022/01/the-1000-light-year-wide-cosmic-bubble-around-earth
3. 새로운 기술들
3.1 –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방법
저비용에 간단하며 효율적인 새로운 공정은 갈륨, 알루미늄 나노입자, 그리고 물을 사용하여 90%의 수율로 수소를 생산한다. 이 공정은 갈륨은 무기한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종류의 알루미늄과 물도 사용할 수 있다.
4. 사회 과학
4.1 – 겸손하면 삶에 대한 사랑과 행복이 커진다
겸손은 몇 가지 긍정적인 정신건강과 관련있다. 대학생들 사이에서, 겸손에 대한 다섯 가지 측면 모두는 삶에 대한 더 큰 사랑과 관련이 있었다. 더 높은 종교성, 가치관, 그리고 타인에 대한 겸손은 더 큰 행복과 관련 있었다. 성인들 사이에서는 전반적으로 겸손해지면, 경험, 양심, 그리고 기쁨에 대해서 더 열린 자세를 갖게 되었다.
https://www.psypost.org/2022/02/being-humble-cultivates-a-greater-love-of-life-and-higher-self-efficacy-among-young-adults-study-suggests-62623?utm_source=dlvr.it&utm_medium=facebook
4.2 – 창조적인 사람들의 독특한 두뇌 연결
매우 창의적인 사람의 두뇌는 보통 사람의 두뇌와는 다르게 작용한다. 그들의 두뇌는 먼 거리를 연결할 때, 비창조적인 뇌가 거쳐가는 “중심지역”을 우회해서 먼 거리를 더 빨리 연결하는 비정형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시각 예술가들, 과학자들, 거대한 창조적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똑똑한 사람들이 창조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열심히 하는 것 만큼 할 필요가 없는 것 같다.
https://neurosciencenews.com/creativity-connectivity-20274/?fbclid=IwAR2eBqsur6WNHoeOD_5enMGOPrkP-9JGDoL_3b9kZkP20b5RmTdgCXTnLX8
4.3 – 운동을 통한 창조성의 발견
우리가 좀 더 유연하게 생각하게 되는 것은 움직임 그 자체가 아니라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는 자유에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앉아 있는 동안 작은 움직임조차도 창의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https://neurosciencenews.com/creativity-movement-19923/
5. 메지시와 관련된 기사
5.1 – DNA 돌연변이가 무작위적이라는 진화론에 반하는 연구결과
돌연변이는 DNA가 손상되어 복구되지 않은 채로 남아서 새로운 변이가 생성될 때 발생한다. 기존 진화론은 초기 돌연변이는 완전히 무작위적이며, 자연선택만이 유기체에서 관찰되는 돌연변이를 결정한다는 것이었다. 최근 연구에서 돌연변이 내에서 무작위적이지 않은 패턴이 존재한다는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 부위들은 생물학적으로 가장 중요하며 돌연변이로부터 보호되는 곳이다.
https://phys.org/news/2022-01-evolutionary-theory-dna-mutations-random.html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