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의 낙원실험 : 무분별한 번식이 가져올 재앙

무분별한 번식이 가져올 재앙

1968년. 미국 정신건강연구소는 쥐를 통해 사회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장은 가로세로 210cm 의 네모난 공간. 쥐에게는 충분한 음식과 물이 지속적으로 제공된다.

이렇게 쥐의 낙원을 만들어주자 그곳은 점점 지옥으로 변했고 멸망으로 치달았다.

실험을 진행한 사람은 동물 행동학자 존B 칼훈으로 그는 실험장에 쥐 한 쌍을 풀어놓았다.

쥐들은 곧 번식하기 시작했다.

이 공간은 쥐에게 최고의 번식조건을 공급해주고 있었다. 쥐 개체수는 빠른 속도로 늘어났다.

쥐들의 출산율은 계속 상승곡선을 이어갔고, 315일 경과 후 쥐 개체수는 660마리로 늘어났다. 그런데, 315일 이후로 출산율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개체수는 증가하고 있었지만, 증가속도가 확연하게 떨어졌다. 600일이 경과할 무렵, 쥐는 더 이상 번식하지 않았다.

대체 쥐 실험 공간에는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쥐가 짝짓기를 하려면 일정 공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개체가 늘어나면서 짝짓기 공간을 차지하려는 경쟁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짝짓기 공간을 차지하지 못한 무능력한 쥐가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런 쥐들에게서 공격적인 성향이 발견되었다. 쥐들은 서로 싸우기 시작했고 새끼 쥐들을 물어죽이거나 잡아먹는 모습도 나타났다.

쥐들의 공격성은 점차 심해지기 시작했고, 방어를 포기한 채 서로를 물어뜯었다. 부상과 상처감염으로 인하여 사망하는 쥐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쥐 사회에서 여러 암컷을 거느리며 상위계급을 차지하고 있던 쥐들도 다른 쥐의 공격에 대비하느라 더 이상 생식활동을 하지 않았다. 급기야 암컷쥐들은 어린 새끼를 돌보지 않기 시작했고, 젖도 안 뗀 새끼를 쫓아내는 행동을 보였다.

600일이 지난후, 마지막으로 생존한 쥐들은 번식을 하지 않고 하루종일 먹고 마시며 털을 다듬었다. 이 공간에서 살았던 어떤 세대보다 깨끗하고 건강한 털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세대의 수컷은 더 이상 짝짓기를 하려고 하지 않았다. 암컷도 출산하려고 하지 않았고, 출산한 암컷마저 육아를 포기했다.

출처: https://m.dcinside.com/board/singlebungle1472/656250
https://www.sciencehistory.org/distillations/mouse-heaven-or-mouse-hell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how-mouse-utopias-1960s-led-grim-predictions-humans-180954423/
https://youtube.com/shorts/h8es-6sSTew?si=gWtugcrN9iSH9uYG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