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 보고 한 번 용서'하는 방식이 사회적 협력을 지속시킬 수 있다

간접적 호혜성 이론은 다른 사람을 돕는 것으로 좋은 평판을 얻은 사람이 제3자로부터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하지만, 광범위한 협력은 평판에 대한 합의에 달려 있습니다. 평판이 사람들이 서로 협력하려는 욕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대부분의 이론적 모델에서 평판은 좋거나 나쁘다는 이분법적이며 제한된 정보에 기반합니다. 하지만 오늘날 세상에서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정보는 많이 있으며,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는 그렇습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생물학 교수 Joshua B. Plotkin과 프린스턴 대학의 Corina Tarnita는 협력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는 팀을 이끌고 있습니다. Tarnita 연구실의 박사과정 학생인 Sebastián Michel-Mata는 정보가 풍부한 환경에서 누군가를 판단하는 방법을 다루는 아이디어를 내놓았습니다.

"간접적 호혜성에 대한 현재의 이론은 평판이 복잡한 판단 규범과 합의를 강제할 수 있는 공공 기관이 있는 몇몇 사회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고 시사합니다." 미셸-마타는 말합니다. 하지만 인류학자로서 그는 그러한 사회가 예외일 뿐 규칙이 아니라고 보고 평판이 여러 행동의 요약이라는 단순한 생각에 대해 궁금해했습니다.

"이전 모델은 일반적으로 한 가지 행동이 누군가의 평판을 결정한다고 가정했지만, 저는 우리가 사람들에게 평판을 부여하는 방법에는 더 많은 미묘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종종 누군가가 취한 여러 가지 행동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대부분 좋은 행동인지 나쁜 행동인지 확인합니다." Plotkin 연구실의 박사후 연구원인 Mari Kawakatsu의 말입니다.

연구팀은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여러 행동을 살펴보고 몇 가지 나쁜 행동을 용서하는 것이 협력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행동을 판단하는 방법이며, 이를 "두 번 보고 한 번 용서한다"라고 부릅니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Nature 에 게재되었습니다.

이는 Plotkin이 간접적 호혜성에 대해 주도한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Kawakatsu와 박사후 연구원 Taylor A. Kessinger와 협력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합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가십의 양을 계산하는 논문을 작성했습니다.

플롯킨은 새로운 논문에 대해 "사회의 서로 다른 사람들이 서로 다른 판단 규범을 따르더라도 '두 번 보고 한 번 용서하라'는 것은 여전히 ​​협력을 촉진하기에 충분한 합의를 이룹니다"고 말합니다. 그는 이 방법이 가십이나 공공 기관 없이 협력을 유지한다고 덧붙이며, 이는 논문의 첫 번째 저자인 미셸-마타가 공공 기관이 평판 기반 협력의 전제 조건이 아니라는 원래 가설을 확인시켜 줍니다. 또한 공공 기관이 존재하지만 기관에 대한 신뢰의 침식이 협력을 저해하는 경우 중요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케신저는 가십에 대한 논문에서처럼, 여기서 게임 이론적 모델은 일회성 기부 게임이며, 단순화된 죄수의 딜레마라고도 알려져 있다고 말합니다. 각 플레이어는 파트너를 돕거나 돕지 않을지 선택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와의 상호 작용을 관찰하여 파트너가 다른 플레이어와 협력하는지 또는 "이탈"하는지 확인하여 서로의 평판에 대한 견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더 주기적으로 플레이어는 전략을 업데이트합니다.

간접적 호혜성의 개념은 "마리가 나에게 친절했기 때문에 내가 마리에게 친절하다는 것이 아니라, 마리가 조쉬에게 친절했기 때문에 내가 마리에게 친절하다는 것이고, 나는 조쉬에 대해 좋은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에서 "기본적인 개념은 누군가의 두 상호 작용을 관찰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가 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할 경우, 그 플레이어와 협력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그들과 함께 배신한다는 것입니다."

카와카츠는 모든 공동 저자가 "두 번 보고 한 번 용서" 전략이 항상 협력하거나 항상 이탈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의 두 가지 이상의 행동을 보거나, "나쁜 행동"의 다른 비율을 용서하는 것과 같은 다른 전략으로 대체될 수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말합니다. 타르니타는 아마도 가장 놀랍게도 두 번 이상 보는 것이 추가적인 이점을 가져다주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그녀는 "정보는 양날의 검으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을 때조차도 개인이 일반적으로 모든 정보를 사용하도록 진화하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합니다.

미셸-마타는 그들의 연구 결과의 전반적인 단순성과 견고성이 이 행동 전략이 인간 사회에서 오래되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지적합니다. 저자들은 인류학자와 행동 과학자들이 그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봅니다.

Plotkin과 Tarnita 연구실은 사람들이 직장과 개인 생활 등 여러 맥락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탐구하여 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Kessinger는 "이것은 다양한 현대 사회 문제에 영향을 미칩니다."라고 말하며, "개인의 잘못된 행동이 공적 기록의 문제가 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출처: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4/09/240926132048.htm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