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세포의 치매 치료 가능성 입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질환극복연구단 류훈 박사, 기초과학연구원(IBS) 이창준 단장, 보스톤 의대 이정희 교수 공동 연구팀이 별 세포의 자가포식 작용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덩어리를 줄이며 동시에 기억력과 인지 기능을 함께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것은 별 세포를 활용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한 것이다.

연구팀은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별 세포의 자가 포식 작용에 주목했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서 독성 단백질 축적이나 뇌 염증 반응 발생시 별 세포가 자가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유도해 대응하고 있음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쥐에게 별 세포의 청소 기능을 더 강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을 실험했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쥐의 뇌에 별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나타나는 자가 포식 유전자를 주입해 손상된 신경 세포가 회복되는 과정을 확인했다.

특히 뇌의 기억을 저장하는 해마 부위에서 자가 포식 조절 유전자가 증가할 경우, 뇌 조직 내 병리 현상이 줄어드는 사실도 확인했다. 무엇보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아밀 로이드 베타 올리고머 독성 단백질 제거에 별 세포의 자가포식 기능이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출처: 뉴턴 2024-10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