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만으로 움직인다... 마비 환자에 찾아온 기적

로봇팔이 찬장을 열고 컵을 꺼냅니다.

뇌졸중으로 온몸이 마비된 환자가 휠체어에 앉아 생각 신호로 명령을 내립니다.

뇌 신호를 포착해 컴퓨터로 전달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이용합니다.

핵심은 특정 동작을 반복해 상상할 때 뇌의 활동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뇌에서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의 형태는 유지되지만 위치는 시간에 따라 약간씩 달라집니다.

이런 변화를 AI가 보정해 장치가 지속적으로 일정한 성능을 내도록 했습니다.

연구팀은 로봇팔이 더 빠르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스위스 연구팀은 뇌 임플란트를 사용해 하반신 마비 환자의 손상된 척추와 뇌를 무선으로 연결했습니다.

자전거 사고로 하반신을 못 쓰던 환자는 12년 만에 서고 걷고 심지어 계단을 오를 수 있게 됐습니다.

또 척추에 전자 펄스를 보내는 장치를 통해 파킨슨병 환자를 혼자 걷도록 만들었습니다.

AI의 도움을 받는 신경과학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장애 극복의 새 장을 열고 있습니다.

댓글 없음

아름다운 덧글로 인터넷문화를 선도해 주세요